Open Source/Elasticsearch 썸네일형 리스트형 [Elasticsearch] 2. 그래서 Elasticsearch 왜 씀? Elasticsearch를 왜 쓸까에 대한 고민 사실 올해 초까지는 Elasticsearch라는게 뭔지도, 존재하는지도 몰랐습니다.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의 서비스는 검색을 DB Like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었는데 이걸 개선하는 과정에서 Elasticsearch를 도입했습니다. 1. 검색능력 Elasticsearch는 검색엔진입니다. 그런 이유로 아주 강력한 Full-text 검색이 가능하죠 Full-text은 Text같은 데이터도 색인이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으로 검색 속도에서 개선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Elasticsearch는 각 Text 데이터를 형태소 형태로 분리하여 각 값마다 문서들이 매핑되어있는 형태로 해당 내용이 들어있어야 검색이 되는 %Like% 검색보다 "라면먹고 싶다" => 라면, 먹.. 더보기 [Elasticsearch] 1. ELK 스택? Elasticsearch는 Apach Lucene 기반을 구축된 Java 오픈소스 분산 검색 엔진입니다. 주로 로그 분석, 풀 텍스트 검색 등에 사용되는데, 저는 풀 텍스트 검색의 키워드 검색을 위해 사용했습니다. 기존 DB Like 검색에서 검색결과나 속도면에서 향상시키고자 도입했습니다. Elasticsearch는 모니터링을 위한 Kibana와 데이터 파이프라인인 Logstash, Filebeat와 같이 묶여 ELK 스택으로 묶입니다. Kibana Elasticsearch의 인덱스, 서버 설정 등을 GUI로 편하게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은 모니터링 툴입니다. 인덱스 관리나 서버 상태 확인, 보안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Logstash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산되는 로그나 DB의 쿼리 결과 등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