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율 제한 장치 썸네일형 리스트형 처리율 제한 장치 관련 고민 항상 기능을 개발하고 나서 드는 생각이었습니다. 어.. 만약에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처리되기 전에 요청이 한 번 더 오면 어떡하지? 물론 통상적으로 그런 경우는 잘 없기에 방치해두었다가 기능 개발이 어느정도 마무리되어 잠깐 짬이 났을때 조금 알아보았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위와 상황을 가정하고 진행하겠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이었으니까요.. 처리율 제한 장치란? 단어만 듣고 판단했을 땐, 음.. 분당 몇번의 처리? 초당 몇번의 처리? 등의 제한을 두는 구나, 예 맞습니다. 그거 Client로부터 발생하는 요청을 초당, 분당 등으로 제한시켜 요청을 제한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가 읽었던 책에서는 이를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또는 서비스가 보내는 트래픽의 처리율(rate)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라고 설.. 더보기 이전 1 다음